하다보니
집합 본문
1. 다음과 같은 형태로 집합을 표현한다.
s1=set({1,2,3})
s2=set([1,2,3])
s3={1,2,3}
s4=set()
2. 집합의 특징
- set()키워드 혹은 중괄호를 사용한다. 빈 중괄호({})는 빈 딕셔너리를 말하는 것이니 주의하자.
- 고유한 값을 가진다. 값 중복 불가.
- mutable(값이 변하는)객체이다.
-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싱이 불가하다.
3. 집합 연산
- 교집합 : s1.intersection(s2) 또는 &
- 합집합 : s1.union(s2) 또는 |
- 차집합 : s1.difference(s2) 또는 s1-s2
- 집합이 같은지 ==로 판별
- 집합이 아예 다른지 s1.isdisjoint(s2) =>교집합이 없다.
4. 원소 추가, 삭제
- 원하는 값 추가 : 집합.add() ex)s.add(4)
- 집합의 값을 한번에 여러개 추가 : 집합.update() ex)s.update([1,2,3])
- 특정 요소 제거(set 내부에 지우려는 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오류 발생) : 집합.remove() ex)s.remove("kim")
- 오류없이 안전하게 제거(값이 존재하지 않으면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음) : 집합.discard() ex)s.discart("lee")
- 임의의 요소를 반환 후 제거 : 집합.pop() ex)s.pop()
'프로그래밍 언어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파이썬 리스트 모든 조합 구하기 (0) | 2022.04.22 |
---|---|
아스키코드 (0) | 2022.02.09 |
deque (0) | 2022.02.08 |
2차원 리스트 원소 포함 여부 (0) | 2021.12.27 |
[python]클래스 (0) | 2021.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