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WEB지식 (4)
하다보니
rest+ful rest란? 분산 하이퍼미디어 시스템을 위한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네트워크 리소스를 정의하고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일련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아키텍처 스타일 그러니까!!!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방식에 대해 정리한 원칙이 있고 그 원칙을 기반으로 하는 아키텍처 스타일을 rest라고 한다. http의 주요 저자 중 한 사람인 로이필딩...http가 제대로 사용되지 못하는 점을 안타까워하며 http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아키텍처로 rest를 발표하게 된다... rest의 원칙은 http를 잘 활용하기 위한 원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rest에 대한 원칙을 준수했을 때 restful하다 한다. rest는 특정 기술이 아닌 아키텍처 스타일이다. 일반적으로 웹개발..

상태란? 변화하는 데이터다. UI에 동적으로 표현되는 데이터,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컴포넌트의 부분을 나타내는 JS의 객체라고 볼 수 있다. 상태 관리란? 여러 컴포넌트 간의 데이터 전달과 이벤트 통신을 한 곳에서 관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앞서 말한 상태, 즉 계속 변화하는 데이터를 알맞게 관리하기 위해 나온 개념. 상태가 변경되면서 UI가 변경된다. 상태 관리가 왜 필요해? ui는 사용자와 끊임없이 상호작용을 한다. 이전에 사용자들은 잦은 페이지 이동이 있는 사이트를 사용했었다. 페이지가 바뀔 때마다 서버에서 데이터를 가져오기 때문에 매번 페이지가 다시 그려진다. 그런데 지금의 사용자들은 이전과 같이 페이지 전환이 많은 웹 페이지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는다. 데이터가 바뀌어도 페이지가 ..
front end가 back end에 정보 요청을 할 때 특정 규칙에 맞게 요청을 해야 하는데 이러한 규칙에 맞는 요청을 API라고 한다. open api는 누군가 백엔드를 만들어놓고 주소와 사용 규칙을 공개한 것을 말한다. 이 백엔드의 사용 규칙과 주소만 알면 프런트만 만들어도 쓸 수 있다. 공개된 백엔드를 사용하고 프런트만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을 serverless라고 한다. 서버에 정보를 달라고 하는 것을 request, 요청이라고 하고 찾은 정보를 내 사이트가 받는 것을 response, 응답이라고 한다. 이런 형식이 작성된 문서를 api가이드라고 한다. api가이드에는 공통적으로 요청과 응답에 대한 정보가 나와있다. 정보 전송 방법은 크게 post와 get이 있다. get은 주소창에 모든 정보를..
캐시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나 값을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장소를 가리킨다. 캐시는 캐시의 접근 시간에 비해 원래 데이터에 접근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경우나 값을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싶은 경우에 사용한다. 캐시에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놓으면 계산이나 접근 시간 없이 더 빠른 속도로 데이터에 접근이 가능하다. 무어의 법칙(Moore's law)에 의해 최근까지 CPU의 처리 속도가 급격하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메모리 접근 속도도 함께 늘어나면 좋았겠지만 그러지 못했다. 따라서 메인 메모리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CPU에서 아무리 빨리 처리를 해도 다음 연산에 필요한 데이터가 오는 속도가 너무 느려서 CPU의 성능을 모두 내지 못하였다. 이러한 부분을 극복하기 위해 cache(캐시)가 등장했다. 메..